728x90
728x90
JDK와 JRE는 자바 개발 환경을 구성하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이고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필수적이다. 이 두 가지는 자바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각각 다른 역할을 하며 개발자와 사용자에게 다양한 도구와 기능을 제공한다. JDK(Java Development Kit)JDK는 자바 개발 도구 키트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모든 도구들을 포함한 패키지이다.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컴파일, 디버깅, 실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들을 제공하는 것이 JDK의 역할이다.JDK의 구성 요소JRE(Java Runtime Environment): JDK는 JRE를 포함하고 있고 JRE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한다.Javac(자바 컴파일러): 자바 코드를 컴파일하여..
NVM(Node Version Manager)란?NVM은 여러 버전의 Node.js를 쉽게 설치하고 프로젝트마다 다른 버전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다. NVM을 사용하면 특정 프로젝트에서는 Node.js 14 버전을 다른 프로젝트에서는 16 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주요 기능다양한 Node.js 버전 설치 및 관리프로젝트마다 필요한 Node.js 버전 전환필요 없는 Node.js 버전 제거NVM 설치 방법macOS / Linux에서 설치macOS와 Linux에서는 터미널을 통해 간단히 NVM을 설치할 수 있다. NVM의 GitHub 공식 저장소에서 제공하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NVM 설치 스크립트 실행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nvm-sh/..
REST API는 무엇일까?API에 대해 알아보면 대표적으로 REST API가 있다. 그렇다면 REST API는 정확히 무엇일까? REST API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규칙과 원칙을 정의한 아키텍처 스타일이다.REST API는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클라이언트가 특정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JSON 형식의 데이터를 통해 표현된다.리소스는 URL을 통해 고유하게 식별되며, 클라이언트는 이 URL에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를 사용해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REST API의 ..
GraphQL은 무엇일까?GraphQL은 페이스북에서 개발된 API를 위한 쿼리 언어이자 런타임이다.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요청하고 서버는 그에 맞는 데이터만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REST API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다.GraphQL의 핵심 개념쿼리 (Query)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질의문이다. 쿼리에는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와 구조를 명시한다. 스키마 (Schema) GraphQL API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타입과 필드,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청사진이다. 스키마는 API의 구조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클라이언트가 어떤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지 알려준다. 리졸버 (Resolver)쿼리의 각 필드에 대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로..
Node.js 란? Node.js는 크로스플랫폼 오픈소스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환경으로 여러 OS 환경을 지원한다. Node.js를 이용하면 웹 브라우저 바깥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이 가능한 이유는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통해 JS코드를 구동하기 때문이다.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이란?V8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웹 브라우저를 만드는 데 기반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크롬 브라우저와 안드로이드 브라우저에 탑재되어 있다. 왜 Node.js를 사용할까?그렇다면 왜 Node.j를 사용할까, 단순히 브라우저 없이 JS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Node.js를 사용하는 주요한 이유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확장성Node.js 어플리케이션은 쉽게 확장..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