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90
HTTP 상태코드란?HTTP 상태코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서버가 응답으로 반환하는 코드이다다. 이 상태코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상호작용 상태를 나타내며 5개의 범주로 구분된다. 1XX: Informational(정보 제공)임시 응답으로 현재 클라이언트의 요청까지는 처리되었으니 계속 진행하라는 의미이다. HTTP 1.1 버전부터 추가되었다.2XX: Success(성공)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서버에서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의미이다.3XX: Redirection(리다이렉션)완전한 처리를 위해서 추가 동작이 필요한 경우이다. 주로 서버의 주소 또는 요청한 URI의 웹 문서가 이동되었으니 그 주소로 다시 시도하라는 의미이다.4XX: Client Error(클라이언트 에러)없는 페이지를 요청..
웹 보안은 특히 프론트엔드 개발자에게 중요하다. 웹 브라우저의 보안 정책을 이해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번 글에서는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와 CSRF(Cross-Site Request Forgery)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다. 두 개념은 비슷해 보이지만 웹 보안에서 서로 다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이다. 그럼 웹보안을 위한 여러가지 정책을 알아보자.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웹 브라우저의 보안 정책CORS는 웹 브라우저에서 서로 다른 출처(Origin) 간의 리소스 공유를 제어하는 보안 정책이다.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의 리소스를 요청할 때 CORS는 해당 요청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S..
HTTPS는 무엇일까?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는 HTTP에 SSL 또는 TLS 프로토콜에 보안을 더한 프로토콜이다. 웹 브라우저와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을 암호화하여 해커나 제3자가 데이터를 중간에서 가로채거나 변조하는 MITM 공격을 방지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구글은 크롬 브라우저에서 HTTPS 프로토콜이 아닌 경우 "안전하지 않음"알림을 보내기도 하고 HTTPS인 경우 SEO 점수에 영향을 준다고 하여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HTTPS의 주요 특징데이터 암호화 HTTPS는 SSL/TLS(SSL: Secure Sockets Layer, TLS: Transport Layer Security)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이를 ..
세션이란?Session은 많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 브라우저 쿠키에 저장되던 값들을 웹 서버 측에 저장하는 메커니즘에 사용되는 Session을 말한다. 웹 브라우저는 세션 ID만 쿠키에 저장하고 실제 데이터는 웹 서버의 별도 저장소(DB)에 저장한다.세션과 쿠키의 관계세션을 사용한다고 해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웹 브라우저는 어떤 세션에 속하는지 식별하기 위해 SESSION_ID를 쿠키에 저장한다. 웹 브라우저가 닫히면 세션 정보는 일정 시간 후 삭제되어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세션 저장소와 Redis세션 정보는 웹 서버 측에 저장되므로 빠른 데이터 접근이 중요하다. 특히 API 호출이 빈번한 경우 매번 세션 정보를 조회해야 하므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웹 스토리지란?웹 스토리지는 HTML5부터 도입된 기술로 웹 브라우저 자체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쿠키와 유사하면서도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웹 스토리지의종류로컬 스토리지 (localStorage)데이터가 브라우저에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브라우저를 닫거나 컴퓨터를 재시작해도 데이터는 유지된다. 사용자가 직접 삭제하거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삭제 코드를 실행해야만 삭제된다. 세션 스토리지 (sessionStorage)데이터가 브라우저 탭이나 창이 열려 있는 동안에만 유지된다. 탭이나 창을 닫으면 데이터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웹 스토리지 특징더 큰 저장 용량: 쿠키는 일반적으로 4KB 정도의 작은 용량만 저장할 수 있지만 웹 스토리지는 5MB 이상의 훨씬 큰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서버로 전송되..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